맨위로가기

신면공 영광정씨정부인 화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신면공 영광정씨정부인 화관비(申㴐公 貞夫人 靈光丁氏 花冠碑)는 조선 전기의 문신 신면(申㴐)의 부인 영광 정씨(靈光 丁氏, 1437~1497)의 묘비입니다. 화관비라는 이름은 비석 머리 부분의 연꽃 문양이 화관(花冠)을 닮았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위치 및 지정: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구문천리 산104-1번지 (또는 구문천2길 122-10)에 위치해 있습니다.
  • 2008년 11월 28일 화성시 향토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10월 23일 향토문화재(유형) 제14호로 변경 재분류되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1495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 비신의 높이는 150cm, 너비 66cm, 두께 34cm입니다.
  • 기단의 높이는 20cm, 너비 95cm, 두께 67cm입니다.
  • 비석 전면에는 "정부인정씨지묘(貞夫人丁氏之墓)"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 비석 뒷면에는 12행 23열 264자로 된 음각 비문이 있습니다. 김전(金詮)이 글을 짓고, 박경(朴耕)이 유공권체(柳公權體)로 썼습니다.

영광 정씨:

  • 내금위 사직을 지낸 정호(丁湖)의 딸이며, 어머니는 교하 노씨로 돈녕부사 노물재(盧物載)의 딸입니다.
  • 어려서부터 정숙하고 덕행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으며, 큰 아들은 제군수를 지낸 신용관(申用灌), 작은 아들은 좌의정을 지낸 신용개(申用漑)입니다. 사위는 강희맹(姜希孟)의 차남 강학손(姜鶴孫)입니다.

추가 정보:

  • 신면공 영광정씨정부인 화관비 근처에는 신용개 신도비도 있습니다.
  • 영광 정씨의 묘는 김포시 운양동에서 화성시 향남읍 구문천리로 이장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백자청화 정부인 영광정씨 묘지 및 지석함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은 묘지와 지석함이 함께 구성되어 있어 조선전기 묘지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신면공 영광정씨정부인 화관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이름신면공 영광정씨정부인 화관비
유형향토문화재(유형)
지정 번호21
지정일2008년 11월 28일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고령신씨 북백공파
소재지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구문천리 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